검색
구효서
1957년 강화도에서 태어나 1987년 『중앙일보』로 등단했다. 소설집 『확성기가 있었고 저격병이 있었다』 『깡통따개가 없는 마을』 『시계가 걸렸던 자리』 『저녁이 아름다운 집』 『별명의 달인』 『아닌 계절』 등과 장편소설 『늪을 건너는 법』 『라디오 라디오』 『비밀의 문』 『내 목련 한 그루』 『나가사키 파파』 『랩소디 인 베를린』 『동주』 『타락』 『새벽별이 이마에 닿을 때』 『옆에 앉아서 좀 울어도 돼요?』 등이 있으며, 산문집 『인생은 지나간다』 『인생은 깊어간다』 등을 펴냈다. <한국일보문학상> <이효석문학상> <황순원문학상> <대산문학상> <동인문학상> <이상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avocado105@hanmail.net
이상욱
2013년 『문학의 오늘』 소설 신인상 당선
2021년 소설집 『기린의 심장』
2021년 엔솔러지 소설집 『숨쉬는 소설』
2024년 『소설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공저)
leesang2406@naver.com
박가경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졸업
2015년 『열린시학』 신인작품상으로 등단
시집 『우리 사이에는 우리가 모르는 계절이 살고 있다』
leb630@hanmail.net
이화정
2018년 국제신문 신춘문예 당선
2023년 심훈문학상 수상
2024년 소설집 『야생의 시간』 출간
이강하
경남 하동 출생 2010년 《시와 세계》 등단 시집 『화몽(花夢)』 『붉은 첼로』 『파랑의 파란』
uree7766@naver.com
김학중
1977년 서울 출생. 2009년 월간 『문학사상』으로 등단, 2017년 첫 시집 『창세』(문학동네) 발간, 2020년 청소년 시집 『포기를 모르는 잠수함』 (창비교육) 발간, 제18회 박인환문학상 수상, 2017 서울문화재단 잠실창작스튜디오 장애인창작기금 수혜, 2017년 시집 『창세』 세종도서 선정, 2020년 청소년 시집 『포기를 모르는 잠수함』 문학나눔우수도서 선정.
pulza23@hanmail.net
윤보인
1979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2007년 『문학사상』 신인에 「뱀」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소설집 『뱀』과 장편소설 『밤의 고아』 『재령』이 있다.
sayfree30@nate.com
성향숙
경기 화성 출생 2000년 농민신문 신춘문예 당선. 2008년 《시와반시》 등단. 시집 『엄마, 엄마들』 『염소가 아니어서 다행이야』 『무중력에서 할 수 있는 일들』
shs003127@hanmail.net
김재희
1965년 제주 서귀포 출생
제주 대학교 국어 국문학과 졸업
2022-1 스토리코스모스 신인발굴공모전 시부문 당선
kksjj25@daum.net
유희란
2013 세계일보 신춘문예 당선 2014 대산창작기금 선정 2021 소설집 『사진을 남기는 사람』 출간
yhr2001@hanmail.net
엄창석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중편소설 「화살과 구도」가 당선되며 등단했다. 소설집 『슬픈 열대』,『황금색 발톱』,『비늘 천장』, 장편소설 『빨간 염소들의 거리』, 『태를 기른 형제들』,『어린 연금술사』,『유혹의 형식』, 산문집 『개츠비의 꿈』이 있다. 한무숙문학상 수상.
padong22@hanmail.net
박희인
「한국문학예술」 신인상 시 부문 수상 (2021)
「내 마음대로 사는 게 뭐 어때서?」 (2017, 공동 산문집)
「20대 여자, 직장 상사 조종법」 (2020, 개인 산문집)
shingbsb@naver.com
허성환
2021년 대구매일 신춘문예 당선
2023년 소설선 『전두엽 브레이커』 (공저)
2024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당선
heosunghwan@naver.com
이종섶
경남 하동 출생 2008년 대전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 2016년 광남일보 신춘문예 평론 당선 수주문학상, 시흥문학상, 문경문학상 등 수상 시집 『물결무늬 손뼈 화석』, 『바람의 구문론』, 『수선공 K씨의 구두학 구술』
mybach@naver.com
김지헌
충남 강경 출생 수도여자사범대학 졸업 1997년 『현대시학』등단. 『배롱나무 사원』 『심장을 가졌다』 외 3권 <미네르바문학상> 수상 현, 한국시인협회 사무총장
kimj2850@hanmail.net